[내일배움캠프][TIL] 23.11.27 (월) - K번째수 정렬, Kotlin 문법 기초
1. 코드카타 오늘 푼 알고리즘 문제는 'K번째수 정렬'이다. K번째수 정렬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,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한다. 배열 array, [i,j,k]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하기. 이번주에는 저번주에 피드백했던 대로, String 타입과 Array 타입에 대한 문제 위주로 풀어볼 예정이다. 그 첫번째 대상이 바로 이것. 일단 이걸 어떻게 풀어야하는지 간략하게 정리해보자. 우선 commands의 각 행마다 [i,j,k]가 주어져 있고, 이 i,j,k를 이용하여 a..
[내일배움캠프][TIL] 23.11.22 (수) - 소수 만들기, Git / Github 기초
1. 코드카타 오늘 내가 푼 알고리즘 문제는 '소수 만들기' 이다. 소수 만들기 숫자들이 들어있는 배열 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nums에 있는 숫자들 중 서로 다른 3개를 골라 더했을 때 소수가 되는 경우의 개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기 ex) nums = [1, 2, 3, 4] -> result = 1 (1+2+4 = 7) nums = [1, 2, 7, 6, 4] -> result = 4 (1+2+4 = 7, 1+6+4 = 11, 2+7+4 = 13, 7+6+4 = 17) 우선은 nums에 있는 숫자들 중 서로 다른 3개를 골라서 더하는 코드부터 짰다. for (i in nums.indices){ for (j in i+1 until nums.size){ for (k..
[내일배움캠프][TIL] 23.11.21 (화) - 두 개 뽑아서 더하기, it
1. 코드카타 오늘 내가 푼 알고리즘 문제는 '두 개 뽑아서 더하기' 이다. 두 개 뽑아서 더하기 정수 배열 numbers가 주어질 때, numbers에서 서로 다른 인덱스에 있는 두 개의 수를 뽑아 더해서 만들 수 있는 모든 수를 배열에 오름차순으로 담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기. ex) numbers = [2, 1, 3, 4, 1] -> result = [2, 3, 4, 5, 6, 7] numbers = [5, 0, 2, 7] -> result = [2, 5, 7, 9, 12] 우선은 '서로 다른 인덱스에 있는 두 개의 수를 뽑아서 더하는' 코드부터 짜기로 하자. for (i in 0 until numbers.size){ for (j in i+1 until numbers.si..